아키텍처를 선택해야할 때
고려요소Spring BootNestJS
내재적 장점공식모듈의 강력함세팅의 용이성
인더스트리 측면국내 최대의 커뮤니티/인재풀성장 가능성 (미래성)
개발조직적 측면파트 내부의 언어경험 비중이 높음미경험자의 학습 용이성
프로젝트적 측면--

디자인 센터 백엔드 스택을 선정하면서 배웠던 점을 서술하는 페이지입니다.

제가 정리했던 스프링 조사 자료입니다.

https://log-hannah.notion.site/Spring-Framework-397e1e693a0a46049dfc668cbdd86097?pvs=4

저는 피드백을 받으면서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봐야하는지, 어떠한 측면에서 생각해야하는지를 배웠습니다. 즉, 시야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프레임워크의 장단점이 아닌 프레임워크 자체의 장단점을 서술해야한다는 점과, 프로젝트적 측면을 선택해야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외부 상황과 내부적인 상황, 그리고 비용적인 측면 (기회비용과 인력비용의 대조) 등등도 배웠던것같습니다.